AI 분야의 최신 채용 공고와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하세요. 다양한 직무의 채용 정보를 제공합니다.
그림 1. 한국 vs 해외(한국만 제외)채용 직군 분포
📋 시사점
- 한국은 현재 초기 단계로서 특정한 전략적 역할(기획 및 비즈니스)에 집중하고 있으며, 해외 지사는 보다 성숙된조직 구조로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고루 인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
- 이는 향후 한국 지사가 보다 다양한 직군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.
1-2) 해외 직군별 연봉 분석
최근들어, 해외 채용을 많이들 준비하시는데, 그럼 해외 OpenAI는 직무별로 연봉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?
1위 핵심기술직군(백엔드, AI/머신러닝, 디자인)
- 백엔드 최소 약 1,500만 ~ 최대 8억원대!
- AI/머신러닝 최소 2억 8,800만 ~ 최대 7억 6,000만
- 디자인 최소 2억 3,300만 ~ 최대 7억 2,600만2위 PM/PO/기획, 비즈니스/스타트업, 안드로이드, 프론트엔드 등
3위 기술/지원 직군(데이터 분석, DevOps등), 마케팅
그림 2. 해외 직군별 최소/최대 연봉(단위, 백만워)
📋 시사점
1. 핵심 기술직군에 대한 프리미엄
- 핵심 AI 개발/운영 인재 확보에 회사가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음
2. 데이터 분석, DevOps 등 인재도 고연봉
- 데이터 인프라와 서비스 운영을 담당하는 직군 역시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함
- 기술 개발과 함께 안정적 인프라 운영/분석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해석 가능
3. 비기술/지원직군도 결코 낮지 않은 수준
- 글로벌 AI 기업의 고연봉 구조와, 기술과 비즈니스의 균형적 성장을 동시에 도모함을 의미
4. 연봉 격차
- 경력, 지역, 업무 성과, 포지션별 차별화된 보상 정책 반영
💬 2. 타 아시아 국가 채용 및 해외 지사 직무 분석
그럼 한국 지사의 미래 채용 방향 예측을 위해, 이전 아시아 지사인 도쿄와 싱가포르 지사의 연도별 채용 현황을 비교 분석했습니다.
2-1) 도쿄 지사 직무 연도별 채용 현황
24년 채용 - 총 6건
- PM/PO/기획 3건, 비즈니스/스타티업 2건, 마케팅 1건
- 기획 및 비즈니스 중심으로 채용 진행
25년 채용 - 총 13건
- 비즈니스/스타트업 10건, PM/PO/기획 2건, 디자인 1건
- 비즈니스 직군 대폭 확대, 마케팅 대신 디자인 직군 추가
2-2) 싱가포르 지사 직무 연도별 채용 현황
24년 채용 - 총 2건
- PM/PO/기획 1건, 비즈니스/스타트업 1건
- 조직 초기 단계로 핵심 전략 및 사업 개발 인재 확보 집중
25년 채용 - 총 16건
- 비즈니스/스타트업 직군 13건, 기획, 마케팅 등 성장 지원 직군 확대
- 조직 확장 단계로 본격적인 인재 영입 가속화
📋 시사점
1. 비즈니스/스타트업 채용공고의 급격한 증가
- 아시아 지사의 비즈니스 확장, 현지 파트너십/영업, 스타트업 협력 등 사업개발 역량 강화에 집중
2. PM/PO/기획 직군 유지
- 제품 및 프로젝트 관리 역량도 중시
3. 직군 다양한 변화
- 마케팅 및 디자인 직무의 추가 채용으로,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조직 구성의 변화와 단계별로 필요한 인재상이 달라짐
2-3) 해외 지사 - 직무 연도별 분석
해외 지사는 채용공고가 가장 많은 샌프란시스코를 대상으로 직무 분석을 진행했습니다.
24년 채용 - 총 217건
- 비즈니스/스타트업 80건, 백엔드 45건과 PM/PO/기획 38건으로 가장 많았음
- 사업개발 및 확장하며 기술적 고도화를 중심으로 확대하는 추세
25년 채용 - 총 383건
- 백엔드 127건, 비즈니스/스타트업 104건으로 채용이 급격히 증가
- 기술적 고도화와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드라이브를 건 것으로 해석이 가능
📋 시사점
- 다양한 직군 채용은 조직의 성숙과 확장에 달려있음을 시사하고, 앞으로 한국 지사의 관점으로 장기적으로 성장과 시장 확장에 따라, 샌프란시스코처럼 다양한 직군으로 확대함을 알 수 있음
- 초기에는 비즈니스/기획/PM 위주이지만, 이후 기술직군 특히, 백엔드/AI/머신러닝과 서포트 직군까지 균형 채용전략이 될 거 같음
2-4) 백엔드 직군 세분화
24년도 80건, 25년도 127건으로 가장 많이 상승하여, 백엔드 직군으로 더 세분화해서 채용공고를 확인해보겠습니다.
일반 엔지니어, 플랫폼 직군의 수요 집중
- 두 그래프 모두 '일반 엔지니어(Engineer General)'와 '플랫폼(Platform)' 직군이 가장 많은 채용공고 수를 기록함
- 특히 25년도에 일반 엔지니어 직군이 절대적으로 많아 (51건), 백엔드에서 범용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역량을 가장 중시하는 조직 문화가 반영
풀스택/API/서버/데이터 엔지니어 등도 비중 높음📈
- 풀스택(Fullstack), API/서버, 데이터 엔지니어 등의 수요도 꾸준히 나타나며,OpenAI 백엔드 조직이 다양한 기술 도메인에 인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보여줌
- 이는 단일 플랫폼이 아니라, 복합적 서비스/플랫폼 확장을 추구를 시사함
보안/품질(QA)등은 채용 비중이 낮음📉
- 보안(Security), 품질/QA 직군의 채용공고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
- 핵심 플랫폼 개발 및 기능 확장에 더 많은 리소스를 집중하고, 품질 및 보안 강화는 내부 역량이나 별도 전담팀(혹은 아웃소싱)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함
📋 시사점
1. 핵심 엔지니어(일반 엔지니어, 플랫폼) 중심으로 성장, 다양한 세부 역량 강화
➡️ AI 중심의 대규모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"플랫폼/인프라" 개발에 집중 투자
2. 다양한 기술 트랙(풀스택, API/서버, 데이터 엔지니어)의 필요성 증가
➡️ 성장하는 조직일수록 역할별 전문성이 요구됨을 반영
3. 품질/QA, 보안 등은 비중이 매우 작지만 필수 보완 영역
➡️ 조직이 커질수록 해당 분야도 점진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
💬 3. 한국 지사 예상 채용 직무 분석
앞에서 해외 지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, 한국 지사 채용 현황을 예측 분석 해보겠습니다.
예측하기 전, 25년도한국 지사 채용 공고를 먼저 확인해보면, PM/PO/기획 3건, 비즈니스/스타트업 2건으로 이전 초반 아시아 지사들과 유사하게 채용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.
성장 단계에서 비즈니스/스타트업 직군의 대폭 확대
- 25년도 도쿄/싱가포르 모두 ‘비즈니스/스타트업’ 직군 채용이 급격히 확대
➡️ 이는 시장 확장, 파트너십 구축, 영업/고객사 관리 등을 강화하기 위하며, 한국 지사 역시 초기 안정화 이후, 비즈니스/스타트업 직군의 채용 규모를 빠르게 확대할 것이라 생각합니다.
직군 다변화 : 마케팅, 디자인 등
- 도쿄/싱가포르 모두 25년도에 1건 이지만, 마케팅과 디자인 분야에서 채용 공고가 등장했습니다.
➡️ 이는 제품 현지화, 브랜딩, 사용자 경험 강화 등 사업의 질적 성장 단계를 의미하며, 한국 역시 일정 규모에 도달하면 마케팅, 디자인 등 서포트 직군 채용도 순차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.
그림 3. 25년 한국 OpenAI 채용공고 수
📋 시사점
- 현재 한국은 사업 초기 단계로 단기적 채용 수요 전망을 보면, '비즈니스/스타트업 직군'이 확장 추세로 보임
- 이후 조직의 성숙과 확장에 따라, 초기의 비즈니스/기획/PM 위주에서 기술직군(백엔드/AI/머신러닝)과 서포트 직군까지 균형 채용 전략이 될 거 같습니다.
💬 4. 중·장기적 채용 수요 전망
마지막으로, OpenAI가 전 세계적으로 AI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‘Stargate’를 추진 중입니다. 향후 10GW급 데이터센터를 포함하는 초대형 AI 인프라 네크워크를 목표로 하며, 한국도 아시아 지역의 후보지 중 하나로 국내외 언론을 통해 거론된 바 있습니다.
이에 따라, 한국 역시 다음과 같은 직무군에서 중·장기 채용 수요로 전망 해볼 수 있습니다.
데이터센터 운영/관리
- 전문 역량 : 데이터센터 시설관리, 서버/네트워크/스토리지 운영, 전력·냉방 등 인프라 유지보수
- 기술 스택 : DCIM(Data Center Infra Mgmt), 네트워크 장비(시스코/주니퍼 등), 하드웨어 트러블슈팅
- 자격/경험: 대형 IDC, 클라우드 센터, 통신사 데이터센터 등 유관 실무 경험, 야간/교대근무 대응력
HPC(고성능 컴퓨팅)/클라우드 시스템 엔지니어
- 전문 역량: 대규모 서버·클러스터 구축 및 운영, 병렬/분산 컴퓨팅, 리소스 최적화
- 기술 스택: Linux, Docker/Kubernetes, AWS/GCP/Azure, Slurm 등 HPC/클라우드 오케스트레이션
- 자격/경험: 초대형 클라우드/AI 인프라 설계 및 운영, 자동화·모니터링 툴 활용 경험
AI/ML 엔지니어 및 연구원
- 전문 역량: 대형 언어모델(LLM), 딥러닝 모델 학습/최적화,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, 모델 서빙
- 기술 스택: Python, PyTorch/TensorFlow, 분산 트레이닝 프레임워크, MLOps, API 설계
- 자격/경험: 논문 구현/실서비스 적용 경험, 대규모 GPU 활용, 오픈소스/클라우드 환경 실전 경험
한국어 특화 언어모델 현지화 인재
- 전문 역량: NLP(자연어처리), 데이터 전처리·라벨링, 텍스트 분석, 모델 튜닝/평가
- 기술 스택: KoNLPy, HuggingFace, 데이터 라벨링/검수 툴, 토큰화/문장 분리/의미 해석
- 자격/경험: 한국어 대용량 데이터 처리, BERT/GPT 등 한국어 모델 개발·검증 경험, 언어/문화 이해력
AI 보안·데이터 거버넌스 전문가
- 전문 역량: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, 데이터 접근 제어, AI 시스템 취약점 분석 및 대응
- 기술 스택: 보안 프레임워크(ISO27001, NIST 등), 접근제어/암호화, 개인정보 비식별화
- 자격/경험: 기업 보안 실무, 개인정보/AI 윤리·법률 관련 자격/경험, 침해사고 대응
Compliance/Regulatory 전문가
- 전문 역량: AI/데이터 관련 법률 해석, 정책 수립, 컴플라이언스 대응, 정부/공공기관 커뮤니케이션
- 기술/지식: 국내외 개인정보보호법, AI 윤리정책, 국제 표준(ISO, GDPR 등)
- 자격/경험: 법무/준법감시/규제 대응, 공공기관·규제기관 협업 경험, 관련 자격증(변호사 등) 우대
사업개발 및 전략 전문가
- 전문 역량: 시장 조사, 파트너십·고객사 발굴, B2B/B2G 세일즈, 신사업 기획
- 기술/지식: IT/AI 업계 동향, 영어 등 외국어, 프레젠테이션/제안서 작성
- 자격/경험: 대형 IT/B2B 기업 사업개발, 파트너 관리, 신규사업 론칭 경험
고객 지원/기술지원
- 전문 역량: 기술적 이슈 분석 및 해결, 고객 커뮤니케이션, SLA 관리, 문제해결형 사고
- 기술 스택: 헬프데스크 시스템, API/SDK 지원 경험, 로그 분석/문서화
- 자격/경험: B2B 기술지원, 글로벌 협업, 클라우드·AI 서비스 지원 경험
SRE/DevOps 엔지니어
- 전문 역량: 대규모 시스템 신뢰성 보장, 자동화(Infra as Code), 장애대응·복구, 모니터링
- 기술 스택: Linux, Docker/Kubernetes, CI/CD, Prometheus/Grafana, IaC(Terraform 등)
AI 분야의 최신 채용 공고와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하세요. 다양한 직무의 채용 정보를 제공합니다.
국내 회사 뿐만 아닌 해외 회사 또한 신규 채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📌 해당 데이터가 궁금하시다면, Careerly 데이터팀으로 csv파일 요청 해주세요.
👋 마무리
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테크 기업의 채용 트렌드는 시기와 장소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 Careerly는 OpenAI를 포함한 85개 AI 기업과 Google, Meta 등 글로벌 Big Tech 기업의 채용 트렌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며, 관심 직군 설정을 통해 채용공고, 아티클, 교육 콘텐츠까지 맞춤형으로 제공합니다.